
(자료=대학닷컴)
[대학닷컴 이민호 기자]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자의 취업률이 3년 연속 상승했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학교알리미 사이트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 소재 74개교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은 2014년 49.2%, 2015년 50.9%, 2016년 51.4%, 2017년 55.5%로 3년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산업수요맞춤형고) 전국 평균 취업률은 53.6%였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72.5%로 가장 높고, 경남 65.9%, 경북 65.5%, 대구 63.8%, 세종 61.8% 순이고, 서울은 55.5%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편이며 경기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47.2%, 전북 38.6%, 제주가 31.5%로 가장 낮았다.
서울은 자치구별로 강남구가 80.1%로 가장 높았고, 금천구 74.7%, 서초구 71.5% 순이고, 양천구가 25.1%로 가장 낮았다.
서울 소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중 취업률이 90% 이상인 학교는 모두 3개교로 서울로봇고(마이스터고, 강남구 소재)가 92.8%로 가장 높았고(졸업자 152명 중 취업자 127명, 취업 및 학업 병행 14명), 수도전기공고 91.9%(마이스터고, 강남구 소재), 미림여자정보과학고 91.2%(마이스터고, 관악구 소재) 등이었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어려운 경제 상황 및 취업 환경에도 불구하고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함)의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은 선취업 후진학 등 정부의 고졸 취업 활성화 정책과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현장성 있는 직업교육, 학생 선발 과정에서 중학생의 취업 의지를 반영한 특별전형을 확대 등에 따라 소질과 적성을 갖춘 학생들이 점차 특성화고에 입학하는 비율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지역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대학 진학률은 2017년 24.6%로 2014년 31.2%, 2015년 28.0%, 2016년 27.0%와 비교하여 3년 연속 하락하였다. 전국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종합고 전문반 평균 대학 진학률은 2013년 41.6%, 2014년 38.7%, 2015년 36.6%, 2016년 34.2%로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직업 탐구 지원자도 2017 수능 7천 944명으로 2015 수능 1만 2천 580명, 2016 수능 9천 361명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태그 : #취업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저작권자 : (c) '대학닷컴'무단 전재·복사·배포 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본지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언론 윤리 준수를 서약하였습니다.
취재원과 독자는 대학닷컴에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 : edit@daehac.com, 전화 : 02-6297-0130